1. 변동계수의 의미
1)정의
- 변동계수는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눈값

2) 의미
- 서로 다른 두 집단의 자료 분포를 평균의 관점에서 퍼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
- 두 자료의 측정 단위가 달라 평균의 차이로 인해 두 자료의 분포를 직접 비교할 수 없을때 사용
- 자료의 평균이 0이거나 0에 가까울 때 변동 계수가 무한히 커질수 있음에 주의

2) 상대표준오차와 변동계수
-(통계청 용어) 변동계수 : 변동계수는 표본오차를 해당 추정값으로 나누어 백분율(%)로 표시한 것으로 상대표준오차를 의미하며, 추정값 대비 상대적인 변동을 설명함. 표본조사 전문가들은 표준오차에 비해 변동계수를 표본추
출오차를 나타내는 척도로 많이 사용하며, 추정의 정확성(percision)을 평가하거나 목표오차를 만족하는 표본 크기를 산출하는데 사용함.
-(통계청 용어) 상대표준오차 : 추정량의 표본추출오차를 나타내는 척도로 상대표준오차는 추정값의 표본오차를 추정값 자체로 나누어서 산출함. 통계용어 리스트 (narastat.kr)
2. 변동계수 활용 예
1) 반복조사에서 모집단 크기 변동을 반영한 표본수 결정
- 현행 조사로 부터 상대표준오차를 계산하고 이를 사전에 정한 목표 상대표준오차(목표CV)로 나누어 그 값의 제곱을 현행 표본수에 곱하여 기대 표본수 값을 얻는다. http://kasr.skyd.co.kr/images/13_3_7

2) 신뢰도의 지표로 사용
- 발표된 통계의 신뢰도에 대한 지표로서 추정량의 분산 혹은 변동계수(CV)가 사용된다.
- 상대표준오차의 허용범위에 따라 추정량에 대한 공표수준을 정하는데, 우리나라 통계청의 경우에는 캐나다 통계청의 표본조사의 기준에 따라 전체 추정량의 경우 상대표준오차 5% 이내, 특성별 추정량의 경우에는 25% 이내일 때 공표를 허용함. (상대표준오차=


3. 변동계수 참고 자료
1) 논문
2) 자료 (통계청 등)
#상대표준오차